1. github 블로그
seo는 잘되지만 유입까지는 알수가 없음.
작성 날짜, toc, 댓글 등 수정이 자유롭지만 제공하는 에디터가 없어 vsc내에서 전부다 수동 작성 해야함.
그래서 실제 파일명작성, 글 제목 작성 으로 2번 작성해야 함.
테마 제공도 많고, 커스텀 제한 낮고, 커스텀 난이도도 어렵지 않음. 폴더관리가 가능함.
예시 작성)
---
layout: post
title: "타이틀"
date: 2022-03-23
categories: 블라블라
---
내용
* content
{:toc}
2. velog
썸네일이미지와 설명을 넣을 수 있다는건 장점이나 썸네일 이미지의 위치 조정이 불가능한게 아쉬움.
github 블로그와 마찬가지고 seo는 잘되나 유입은 알수 없음.
폴더를 만들고 종류별로 나눌수 없고, 시리즈라는 책자처럼 하나의 목록 형식으로 만들수있음.
글을 작성 및 수정할때 마크다운 기반.
(웨일 브라우저 한정, 크롬은 정상 기능)
왼쪽 과 오른쪽 판넬의 스크롤위치가 동기화 되지 않고, 실제 출판시에 보여지는 오른쪽 판넬은 가운데 정렬로 보여져서 알아보기가 힘듬 (haroopad로 작성한 후 복사 붙여넣기 하여 출판함)
3. 티스토리
seo와 유입까지 잘 나옴.
폴더 관리가 가능함.
기본 스킨은 얼마 없고, 다른 사람이 만든 스킨이 있고 받아서 수정가능.
html의 구조가 이상하고, float을 사용하는등 해서 수정이 쉽지 않음.
'카테고리 글 더보기'같은 내장된 플러그인들은 수정이 불가능하고 몇몇 제한적인 설정들이 있음. ( 태그 갯수가 최소 10개라던가..)
마크다운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고(다른곳에서 작성 후 복붙하면 잘나오지만 ``` 를 이용해서 하면 쌍이 안맞게 나오기도함)
미리보기 조차 없어서 직접 작성하기에는 많이 불편
velog의 썸네일을 한번 겪어서 그런지 목록에서 글의 내용이 줄바꿈도 없이 다닥다닥 붙여있는것이 보기가 안좋음.
정리
|
github 블로그
|
velog
|
티스토리
|
seo 및 유입
|
seo 확인 가능,
유입 확인 불가 |
seo 확인 가능,
유입 확인 불가 |
seo 확인 가능,
유입 확인 가능 |
글 작성
|
vsc의 md 확장프로그램이 있다면 미리보기 편리.
날짜. toc, 코멘트는 수동으로 작성해야 하는 귀찮음 |
(웨일 브라우저가 아니라면) md 기반으로 사용에 막힘이 없음.
|
md로 작성시 인식이 제대로 안됨.
|
글 관리
|
폴더, 태그등 카테고리 관리가 잘되나 파일명과 글 제목이 다르다면 수정 및 관리에 불편함
|
폴더로 관리할 수 없고, 하나의 책자처럼 시리즈 형식으로 관리
|
폴더, 태그, 카테고리 관리가 용이함.
|
스킨 및 커스텀
|
스킨 및 커스텀에 대한 자유도가 높고, scss 파일
|
커스텀 할 수 없음.
|
스킨 및 커스텀이 일부 제한적. css 파일
|
댓글